백두산 밀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두산 밀영은 북한에서 김일성, 김정숙, 김정일의 항일 투쟁 근거지이자 김정일의 출생지로 선전되는 곳이다. 북한은 백두산 밀영을 통해 김씨 일가의 신격화를 시도하며, 김정일의 출생 설화를 단군 신화와 연결하여 정통성을 강화한다. 그러나 김정일의 실제 출생지는 백두산 밀영이 아닌 소련 하바롭스크 근교라는 설이 지배적이다. 김일성은 김정일 후계자 결정 후 백두산을 성지화하고 정일봉을 명명하는 등 백두산과 관련된 일련의 조작을 감행했다. 이러한 백두산 성지화 작업은 김정은 시대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김정은은 스스로 '백두혈통'임을 강조하며 정통성을 주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지연시 - 백두산
백두산은 한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이자 북중 국경에 위치한 화산으로, 예로부터 한민족과 만주족에게 신성시되어 왔으며 천지가 있고, 활발한 화산 활동과 잠재적 폭발 위험이 연구되는 중요한 관광 자원이다. - 삼지연시 - 정일봉
정일봉은 백두산에 위치한 1,793m 높이의 봉우리로, 원래 장수봉이라 불렸으나 김정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개명되었으며, 북한에서는 김정일의 출생지로 선전되어 혁명 사적지로 활용되지만 우상화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백두산 - 조중 변계 조약
조중 변계 조약은 1962년 북한과 중국이 6.25 전쟁 이후 국경선을 명확히 하기 위해 체결한 조약으로, 백두산 천지의 경계를 획정하고 압록강과 두만강의 귀속을 결정했다. - 백두산 - 천지
천지는 백두산 칼데라에 위치하며 북한과 중국의 국경을 이루는 호수로, 비룡폭포로 물이 흘러나가고 호수 괴물 목격담이 전해지며, 남북정상회담 장소로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 - 김정일 - 김설송
김설송은 김정일과 김영숙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김일성종합대학을 졸업하고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선전선동부에서 김정일의 비서로 활동했으며, 몰타와 유럽에서 유학하며 외국어를 배웠다. - 김정일 - 김정남 (김정일의 아들)
김정남은 김정일의 장남으로, 한때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위조 여권 사건 이후 후계 경쟁에서 멀어졌으며, 김정은의 권력 승계에 반대하다가 2017년 말레이시아에서 암살되었다.
백두산 밀영 | |
---|---|
일반 정보 | |
유형 | 혁명전적지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량강도 삼지연시 백두산 |
좌표 | 41°53′24″N 128°26′12″E |
상세 정보 | |
설명 | 김정일의 출생지로 주장되는 곳 |
역사적 중요성 | 북한의 선전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관련 정보 | |
관련 장소 | 백두산 |
관련 인물 | 김정일 |
2. 한국 신화와 백두산
백두산은 한국 신화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한국인의 기원이라고 여겨질 뿐만 아니라, 단군 신화와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2]
백두산 밀영은 북한의 국가 선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단순히 항일무장투쟁의 근거지라는 지리적 의미를 넘어, 김정일이 이곳에서 태어났다는 주장을 통해 단군 신화와 연결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2] 또한 북한은 백두산 밀영을 일제강점기에 대한 자신들의 역사적 해석을 뒷받침하고[4] 김정숙에 대한 개인 숭배를 강화하는 데에도 활용하고 있다.[5]
3. 북한 선전과 백두산 밀영
북한은 백두산 밀영이 초대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과 그의 아내 김정숙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의 주요 근거지였으며,[7] 1942년 2월 16일 김정일이 이 밀영 안의 통나무집(고향집)에서 태어났다고 주장한다.[8] 그러나 실제로는 김정일이 1941년 소련 극동의 하바롭스크 근교에서 태어났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며, 이는 소련 측 자료에서도 확인된다.[9]
1974년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 결정된 이후, 백두산 일대는 김정일 우상화와 백두혈통의 정당성 확보를 위해 성역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백두산 밀영은 김정일의 출생지로 선전되었고, 인근 봉우리는 '정일봉'으로 명명되었다.[10][11] 이러한 백두산의 성지화는 현재까지도 진행 중이며, "유훈 통치"를 내세우는 김정은 역시 스스로 "백두혈통"임을 강조하며 이러한 상징성을 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날씨 예보에서는 주요 도시와 함께 백두산 밀영 지역의 날씨도 함께 발표될 정도로 성역화되어 있다.
3. 1. 김정일 출생지로서의 의미와 그 진실
백두산 밀영은 북한의 국가 선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는 단순히 항일무장투쟁의 근거지라는 의미를 넘어, 김정일이 이곳에서 태어났다는 주장을 통해 단군 신화와 연결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2] 또한, 일제강점기에 대한 북한의 역사적 해석을 뒷받침하고[4] 김정숙에 대한 개인 숭배를 강화하는 데에도 활용된다.[5]
북한의 공식적인 주장에 따르면, 백두산 밀영은 김일성과 그의 아내 김정숙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의 주요 근거지였으며,[7] 1942년 2월 16일 김정일이 이 밀영 안의 통나무집(고향집)에서 태어났다고 선전한다.[8]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정설이다. 다수의 연구와 소련 측 자료에 따르면, 김정일은 실제로는 1941년 2월 16일 소련 극동의 하바롭스크 근교에서 태어났다.[9]
김정일의 출생지가 백두산 밀영으로 조작된 것은 그가 김일성의 후계자로 내정된 1974년 이후 본격화되었다. 김일성은 김정일 우상화와 백두혈통의 정당성 확립을 위해 백두산 일대를 성역화하는 작업을 진행했으며,[10] 이 과정에서 백두산 밀영이 김정일의 출생지로 꾸며지고 인근 봉우리에 '정일봉'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10][11]
이처럼 백두산 밀영과 정일봉은 김씨 일가의 세습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상징 조작의 결과물이며, 현재 김정은 역시 스스로를 "백두혈통"으로 칭하며 이러한 상징성을 이용하고 있다. 북한의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날씨 예보에서는 주요 도시와 함께 백두산 밀영 지역의 날씨도 함께 발표될 정도로 성역화되어 있다.
3. 1. 1. 정일봉 명명
1974년,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 결정되자, 김일성은 백두산을 찾아 풍광이 좋은 곳을 골라 그곳이 김정일이 태어난 백두산 밀영의 옛터라고 주장하며, 뒤편 산을 "정일봉"(장수봉)이라고 불렀다고 한다.[10] 당시 곁에 있던 측근 황장엽은 김일성이 속물이라고 느꼈다고 회고했다.[10] 이후 백두산 밀영은 1980년대 후반 김일성에 의해 "재발견"되었다고 하며, 1987년에는 밀영 터에 통나무집이 "재건"되었다.[11] 다음 해인 1988년에는 근처에 있는 해발 1793m 산의 명칭을 정식으로 "정일봉"으로 고쳤다.[11]
4. 백두혈통과 김정은
북한의 주장에 따르면, 백두산 밀영은 초대 최고 지도자인 김일성과 그의 아내 김정숙이 중심이 되어 이끈 조선인민혁명군의 근거지 중 하나였으며[7], 1942년 2월 16일 김정일이 이 밀영 안의 통나무집(고향집)에서 태어났다고 한다[8]. 그러나 실제 김정일의 출생은 1941년 2월 16일이며, 출생지도 백두산 밀영이 아닌 소련 극동의 하바롭스크 근교라는 설이 주류이고[9], 이는 소련 측 자료에서도 확인된다.
1974년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로 결정되자, 김일성은 백두산을 찾아 한 장소를 김정일이 태어난 백두산 밀영 옛터라고 지목하고, 뒤편 산을 "정일봉"이라고 명명했다고 전해진다[10]. 백두산 밀영은 1980년대 후반 김일성에 의해 "재발견"되었다고 하며, 1987년 밀영 터에 통나무집이 "재건"되고, 이듬해인 1988년에는 근처 해발 1793m의 산봉우리 명칭을 공식적으로 "정일봉"으로 변경했다[11].
이처럼 백두산에 대한 성지화 작업은 계속 진행되었으며, '유훈 통치'를 내세우는 김정은 역시 스스로를 백두혈통이라 칭하며 통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참조
[1]
서적
Rogue regime : Kim Jong Il and the looming threat of North Korea
http://archive.org/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웹사이트
The Background and Contemporary Spiritual-Nationalist Significance of Mt. Baekdu-san and the Baekdu-daegan Range, in All of Korea
http://seed.upol.cz/[...]
2023-11-11
[3]
웹사이트
Kim Jong-Il: Leader of North Korea who deepened the cult of
https://www.independ[...]
2023-10-27
[4]
논문
Centering the Periphery: Manchurian Exile(s) and the North Korean State
https://muse.jhu.edu[...]
1995
[5]
논문
Mother, warrior, and prophet : the myth of Kim Jong Suk in DPRK Cinema
https://ruj.uj.edu.p[...]
2023
[6]
문서
李相哲(2011)pp.101-104
[7]
웹사이트
金日成回顧録『世紀とともに』 「白頭山密営」
http://kcyosaku.web.[...]
[8]
웹사이트
金日成回顧録『世紀とともに』 「革命の根をつちかい」
http://kcyosaku.web.[...]
[9]
뉴스
【秘録金正日(14)】旧日本軍から逃走中「できちゃった婚」 物心つけば、独りで「軍人ごっこ」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5-03-03
[10]
문서
李相哲(2011)p.96
[11]
뉴스
【秘録金正日(17)】先祖の出自は韓国南部…創り出された「白頭山出生」神話、金日成は「ここだ」と決めつけ
https://www.sankei.c[...]
産経新聞社
2015-03-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